working_helen
[웹페이지 구현] Streamlit 웹페이지 구현 / 공모전 제출 본문
Streamlit을 활용해 최종 서비스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추가적으로 도서관 데이터 활용을 통해 공모전에 참여한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1. Streamlit으로 웹페이지 구현
2.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활용 콘텐츠 공모전
1. Streamlit으로 웹페이지 구현
: Streamlit을 활용해 '도서 맞춤형 음악 추천 서비스' 웹페이지 구현
1) 사용 파일
- app.py : streamlit 파이썬 파일
- fianl_data : 노래 전체 DB, af 기반/가사 기반 감정 확률 벡터
- lyrics : 노래 전체 DB, 기존 노래 가사 + 영어로 번역한 가사
- tweet_data_agumentation : 도서 설명 text 데이터를 text 감정 추출 모델의 input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 SVM.pkl : text 감정 추출 모델
2) 서비스 설명
- 서비스 제작 동기 및 목적 소개
- 서비스 매커니즘과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
3) 예시 도서 책장
- 도서와 분위기가 유사한 노래, 혹은 내용이 유사한 노래의 추천 결과가 적절했던 도서 예시
4) 도서 맞춤형 음악 추천
- 노래 추천을 받고 싶은 도서를 입력
- 도서와 분위기가 유사한 5곡, 내용이 유사한 5곡을 유사도 순서에 따라 제시
- Spotify 로그인이 되어 있다면, url을 통해 바로 노래를 들을 수 있도록 제공
- 노래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원래 가사 + 영어 번역 가사 제공
5) 도서관 대출 가능 여부 확인 서비스
- 도서 ISBN과 지역 코드 입력
- 해당 지역 내, 해당 도서를 가지고 있는 도서관 조회
2.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활용 콘텐츠 공모전
- 주최 : 국립중앙도서관
- 목적 : 도서관 데이터를 활용한 신기술 융합 콘텐츠 사례를 발굴하여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 개발 및 교육·연구용 자료로 활용
- 주제 :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와 문화콘텐츠기술(CT)‧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신기술 융합 콘텐츠 제작 사례
공모전 참여 동기 : 도서 맞춤 음악 추천 서비스라는 웹 컨텐츠를 통해, 독서를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우리의 프로젝트 목표와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공모전에 참여
공모전 제출 콘텐츠 : 도서 맞춤형 음악 추천 서비스 웹페이지
- 도서관 데이터 + 추천시스템 => 도서 맞춤 음악 추천 서비스 웹 컨텐츠
-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중 도서관 정보나루 API를 활용해 도서 대출가능 여부 확인 서비스 구현
- 사용자가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며 검색한 도서의 도서관별 도서 보유 여부 및 대출가능 여부를 확인 가능
==> 추천 서비스 활용 경험이 도서관 이용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도서관 이용을 더 장려하는 효과
'deep daiv. > 추천시스템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이리스트 작성] 최종 유사도 분석 (0) | 2024.01.11 |
---|---|
[text 감정 추출 모델] SVM 모델 학습 / text 감정 추출 결과 (0) | 2024.01.08 |
[text 감정 추출 모델] Data Augmentation 데이터 증강 (0) | 2024.01.06 |
[text 감정 추출 모델] 텍스트 전처리 / Goolgetrans 번역 API (0) | 2023.09.18 |
[Audio feature 군집화] Spotify Song Clustering with k-means (0) | 2023.09.16 |